본문 바로가기

돈,경제,정치이야기

실전투자의 시작 8편

반응형

투자자에 따라 , 혹은 자산의 성격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는 자산이 다르다는 것은 이미 공부한 바 있다. 예를 들어 원금을 잃어버릴 경우 노후를 망칠 수도 있으므로 연금 재정을 가지고 위험한 자산에만 몰빵해서 투자할 수는 없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아이들 학비 같은 재원은 결코 손해볼 수 없는 매우 중요한 자금이므로 따로 떼어서 관리해야 할 것이다. 그런 투자에 지침이 되는 중요한 지표가 있다. 어떤 투자자산의 안전도를 보여주는 지표인데, 앞에서 얘기했던 위험대비 기대수익이 높은 자산을 고르는 것이 주로 주식이나 주식형 펀드에 적용되었던 공식이라면, 이번에 소개할 지표는 같은 위험 대비보다 안전한 자산을 골라내는 데 필요한 공식이라 할 수 있다.

SF Ratio

당신에게 안전이 무척 중요한 목돈이 있다고 해보자. 하지만 인플레이션은 이겨야 하므로 적어도 1년 수익률이 인플레이션율보다는 높아야 한다고 생각했다면 바로 '안전우선비율'의 도움이 필요하다. 공식으로 표현하면,

SF Ratio = (기대수익- 최저수익률) / (포트폴리오의 표준편차) 로 만들 수 있다.

 

어디에서 많이 본 공식이다. 최저 수익률 대신 무위험 수익률을 넣으면 그 유명한 '샤프 레이쇼(Sharpe Ratio) 가 된다. 샤프 레이쇼는 나중에 다시 설명할 기회가 있을 것이다.

 

하나씩 설명을 해보면 기대수익은 증권사에서 제시하는 투자자산의 기대수익이므로 이미 상수로 나와 있다.  변수는 당신이 원하는 최저 수익률이다. 당연히 인플레이션을 비트해야 하는 정도의 수익률이면서 증권사에서 제시한 기대수익보다는 낮아야 하겠다. 투자 포트폴리오의 표준편차 역시 이미 상수로 나와 있을 것이다. 당신이 증권회사에 투자를 의뢰하러 가서 상담 직원에게 당신의 돈을 가능한 한 안전하게 운용해 달라고 부탁했다고 해보자. 그 중권사 직원이 당신에게 즉각 2개의 포트폴리오를 제시했다고 하자. 그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과 당신이 생각하는 최소한의 수익률 , 그리고 그 포트폴리오의 표준편차만 구할 수 있다면 안전이 먼저 고려된 포트폴리오를 선택할 수있다.

여기에서 안전이 최우선으로 고려되었다는 의미는 무엇일까? 투자자산은 언제나 기대수익과 변동성의 조합이라고 햇다. 예를 들어 7%의 기대수익에 변동성이 10%라고 해보자. 그럼 재수없으면 -3%의 손실을 볼 수도 있다는 뜻이다. 그러니까 변동성이라는 것은 기대수익대로 되지 않을 가능성을 말하는데, 하필이면 최저 수익률로 떨어진다면 난감해지지 않겠는가 SF Ratio 가 높은 포트라는 것은 변동성에서 제시했던 최저수익률로 떨어질 가능성이 가장 낮은 포트폴리오를 선선택하게 해준다.

 

안전 포트폴리오 고르기

예를 들어보자. 증권사 직원이 권고한 A자산의 경우 기대수익이 10%이고, 표준편차가 20이라고 해보자. 그가 권고한 B 자산의 경우 기대수익이 6.5%이고 표준편차가 10이다. 그런데 당신은 인플레를 이기기 위해 적어도 4%의 수익은 나야 한다고 생각했다면 두 자산 중에 어떤 자산이 유리하겠는가?

A자산 SF Ratio 는  10 -4 / 20 = 30% 

B자산 SF Ratio 는 6.5 - 4 / 10 = 25%가 된다.

위 자산 중에 A가 최저 수익률로 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큰 자산이라는 것이다. 이익이 나면 당연히 좋겠지만, 이익을 내는 것보다 안전이 최우선일 때 당신은 당연히 A포트를 선택해야 하는 것이다.

 

2022.01.01 - [돈,경제,정치이야기] - 실전투자의 시작 7편

 

실전투자의 시작 7편

투자효용을 높이는 방법 투자의 효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당신과 궁합이 잘 맞는 자산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당신이 포트폴리오를 자낼 필요도 능력도 없겠지만 당신은 이미 구축된 포트폴리오

xmalleydryer.kr

2022.01.01 - [돈,경제,정치이야기] - 실전투자의 시작 6편

 

실전투자의 시작 6편

좀 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다시 CML로 가보자. 당신이 투자성향을 정확하게 분석해본 결과 리스크 감수성이 중간 정도인 4정도라고 해보자. 현재 시점에서 무위험수익률은 2%이고 (모두 국채만 매

xmalleydryer.kr

2022.01.01 - [돈,경제,정치이야기] - 실전투자의 시작 5편

 

실전투자의 시작 5편

CML? SML? 당신이 전문가 수준의 정교한 자산 배분을 하려면 'CML (Capital Market Line)' 이나 'SML(Security Market Line)' 이론과 같은 포트폴리오 기법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당신이 전문가가 아니..

xmalleydryer.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