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21)
실전투자의 의미 (5) 휴먼캐피털이란? 휴먼캐피털에 대해 예를 들어보겠다. 어떤 사람이 주식 투자한지 30년이 되었다고 하자. 이 사람이 '금융 지식'이 충분하다고 볼 수 있을까? 주식한 지는 30년이 되었고 주식에 관한 공부도 충분히 했지만 지금까지 늘 깨지기만 했다면 금융 지식이 많다고 할 수 없다. 하지만 단 시간에 세계 최고의 기업을 일군 구글의 창업자 '세르게이 브린'이라면 어떨까? 따로 평가할 것 없이 어마어마한 휴먼 캐피털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이다. 우리 말로 '그릇'이 큰 사람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만약 같은 시기에 다른 사람에게 왔다고 해도 구글과 같은 대기업을 만들지 못했을 가능성이 크다. 누구보다 열심히 일했고, 그 노력이 세르게이 브린에 비해 절대 모자라지 않았다는 확신은 분명하게 가지고 있지만, 휴..
실전투자의 의미 (4) 투자를 위해 고려해야 할 것 : 휴먼캐피털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 중에서 '휴먼 캐피탈'이 있다. 사전적 의미는 '개인별로 특정된 숨겨진 자본 상태'라는 말인데 직업과 나이, 개인별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설명할 것이 많은 부분이라 와 닿는 예를 들어서 천천히 설명해보겠다. 직업적 특성 먼저 직업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휴먼 캐피털의 예를 들어보자. 우리가 구청 공무원이 되었다고 갖어해보자. A라는 에너지가 공무원이라는 환경에 정착하면서 하나의 휴먼 캐피탈을 행성하는데 A의 포트폴리오는 환경에 따라 달라져야한다. 요즘에는 공무원도 직무평가제도를 도입한다고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공무원은 어지간하게 잘못하지 않은 한 정년이 보장하는 채권에 가까운 직업이라고 볼 수 있다. 이미 직업이 채권의 성향이 강하기 ..
실전투자의 의미 (3) 리스크에 대한 이해 : 투자자산의 성격 우선 간단 질문을 해볼까한다. 어떤 사람이 투자를 하려는데, 그 돈이스스로 열심히 일해서 번 돈일 경우와 아버지로부터 상속받은 자산일 경우, 어느 쪽이 리스크에 대한 두려움이 더 클까? 얼핏 생각하면 상속받은 자산은 공돈이기 때문에 손실을 봐도 무방하고, 피땀을 흘려 스스로 번 돈은 어렵게 번 돈이기 때문에 손실을 보면 훨씬 힘들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그 반대이다. 일반적으로 상속이나 증여 자산에 대해서는 손실에 대한 강박감이 매우 크다. 약간의 흔들림에도 마음의 평상심을 쉽게 잃어버리므로 자산을 스스로 번 사람들에 비해서 리스크에 대한 감수성이 훨씬 큽니다. 실제로 거액의 상속을 받은 사람 중에서 가벼운 공황 장애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은 걸 알 수 있다. 하지..